컴퓨터 끼리의 데이터 전송을 위해서는 목적지에 대한 정보가 필요한데,
이번에 설명할 IP (Internet Protocol) 가 바로 목적지의 주소라고 생각하면 된다.
인터넷 통신 방법
- IP Address 에 패킷(통신 단위)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면 통신을 하게된다.
- IP 패킷 안에는 데이터들을 담아 보내게된다.
- 출발지 IP, 목적지 IP 위 같은 정보들과 데이터를 담아서 함께 전송하게되는 방식이다.
하지만 이런 IP 통신에는 한계가 있다.
목적지의 PC가 꺼져있으면 패킷이 소실되며, 패킷이 꼬여버린다면 정상적인 데이터 전달이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.
이를 위해 만들어진 것이 TCP/IP와 UDP/IP 이다.
TCP/IP(Transmission Control Protocol/Internet Protocol)
- TCP/IP 는 기본적으로 IP 패킷이 가지고 있는 정보를 가지고 있다.
- 출발지의 Port 정보
- 목적지의 Port 정보
- 전송 제어정보
- 순서 (”Hello World” 가 있으면 Hello 가 1번, World가 2번)
- 검증정보 등
- 위와 같은 데이터를 가지고 전송한다.
- 이러한 TCP/IP 는 기존 IP와는 다르게 연결성을 보장(3way Handshake)하기에 패킷이 소실될 일이 없고, 데이터를 보증해주며 순서를 지켜준다.
- IP의 단점을 해결하였기에 신뢰할 수 있는 프로토콜이고, 현재는 대부분 TCP/IP를 사용한다.
UDP (User datagram protocol)
- UDP/IP는 기존 IP와 거의 비슷하다.
- 단지 Port와 체크섬이 추가된 것 뿐이라서, 거의 아무기능이 없다고 봐도 무방하다.